코리아 살롱 1.5 #3_ 갈등하는 케이 팝
국내외 한국 전문가들과 함께 하는 ‘찾아가는 K-컬처’ 코리아 살롱 1.5 *
주헝가리 한국문화원은 한류확산으로 한국문화 체험기회 증가하며, 한국문화의 특징, 역사 등 한국문화·사회 관련 인문학·철학 강좌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지난 해부터 시범 추진한 인문학 강좌를 확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한국 문화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키워드 혹은 의제를 중심으로 총 4회의 인문예술 강좌 시리즈를 진행한다.
* 1.5는 1과 2사이의 중간, 헝가리와 한국의 중간 지점, 상호 관계를 형성해 가는 과정의 상태를 의미한다.
· 주최: 주헝가리 한국문화원
· 장소 및 현지협력: Magvető Café, 모메 예술 디자인 대학(MOME, Moholy-Nagy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중부유럽대학(Central European University), ELTE (Eötvös Loránd
University)
· 기 간: 2023. 4월 ∼ 11월 (상반기 4, 6월, 하반기 10, 11월)
· 행사 #3: 갈등하는 케이 팝
(강연) 이규탁
* 현재 한국조지메이슨대 국제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케이팝과 대중음악, 음악산업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케이팝의 시대』(2016), 『대중음악의 세계화와 디지털화』(2016), 『갈등하는 케이, 팝』(2020)이 있으며, 그 외 대중음악과 케이팝에 관한 다수의 글을 온/오프라인 매체에 기고하였다. 또한 월스트리트 저널, 사우스 차이나 모닝포스트,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익스플레인', EBS 공개 강좌 '클래스e', 중앙일보, 조선일보, KBS, MBC, SBS, YTN 등 다수의 국내외 미디어에 출연한 바 있다.
(공연) 개화기밴드 야夜.시時.시詩
*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시초라 할 수 있는 1930-40년대 가요(옛 문학도 재해석한)를 기반으로 옛 가요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모색하며 우리 노래의 연대기를 보여주는 창작 집단
- 일 정: 2023. 10. 26(목) 17:00-20:00 / 장소: 모메(MOME) 대학 영화 스튜디오 등록하기
2023. 10. 27(금) 18:00-21:00 / 장소: 주헝가리 한국문화원 공연장 등록하기
주헝가리 한국문화원(원장 인숙진)은 올해 <코리아 살롱 1.5>라는 시리즈로 총 4회의 인문예술 강좌 시리즈를 진행할 예정이다. 국내외 한국 문화 전문가들을 초청해 한국 문화의 본류本流인 아리랑(Arirang)을 시작으로, 사회적 관습과 문화적 선호를 통한 ‘한국’적인 성별 분리주의와 성 역할, 성 혐오 등 한국의 문제적 한 장면과 예술 작품의 연계성에 대한 논의와 인터넷 미디어 플랫폼의 발달을 배경으로 BTS 이후 글로벌 시장에 ‘안착’한 케이팝(K-POP)의 현재 좌표와 향후의 방향성을 점검하는 시간을 가진 후, 마지막으로는 본연의 언어, 음식, 관습, 정체성이라는 뿌리를 되찾은 본질적 ‘한국다움(Koreaness)’의 시대를 거쳐 한국이 '잊혀진 전쟁에서 K팝으로 도약한 대한민국’으로 어떻게 부상했는지,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들어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한다.
이번 강의는 그 시리즈의 세 번째로, 현재 세계 대중 문화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 케이팝에 관한 내용이다.
BTS 이후 글로벌 시장에 ‘안착’한 내부에서 일고 있는 케이팝의 정체성에 대한 논란, 케이팝은 과연 서구 중심의 글로벌 팝 음악의 대안 개념인가, 아니면 한국의 대표 음악인가? 세계인이 좋아하는 장르 속에서 ‘한국적인 것'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인터넷 미디어 플랫폼의 발달, 그로 인한 직간접적인 문화교류 증대,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세대의 등장 등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문화 산업 환경 조성 등 이 같은 외부 환경의 가장 빠르고 직접적인 수혜자인 케이 팝에 대해 한국 전문가와 함께 이에 대한 현재와 미래에 대해 조명하고자 한다.
강연은 케이팝이란 무엇인가(케이팝의 특성 및 혼성(hybridity) 등), 2020년대 이후 케이팝의 흐름: 비한국인의 케이팝(미국과 유럽, 아시아 등 한국 바깥에서의 케이팝에 대한 가장 최신 사례), 그리고 케이팝과 문화 전유 (cultural appropriation)에 대해 진행될 예정이다.
- 첨부파일